구 소련, 중앙아시아 국제개발협력 활동가의 살아가는 이야기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우즈베키스탄에서의 일, 사랑, 육아, 취미, 여행, 캠핑

본질에는 일치를 비본질에는 관용을 모든 일에는 사랑을!! 자세히보기

국제개발협력 이야기

단기 성과와 장기 비전, 개발협력 프로젝트에서의 균형

중앙아시아 라이프 2024. 10. 12. 13:16

 

통합적농촌개발 프로젝트 참여 인력 단체 사진

개발협력 분야에서 진행되는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정해진 기간 안에 구체적인 목표를 성취해야 한다. 이러한 목표들은 반드시 프로젝트 기간 내에 완료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검증된 경력직 직원들과 전문가들이 주로 단기 계약으로 투입된다. 이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가진 인재들로, 짧은 시간 동안 자신의 전문성을 최대한 발휘하여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키르기스스탄 현지 인력과 한국에서 파견된 인력들이 단기간 근무하는 경우, 조직의 장기 비전과 전략에 집중하는 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이들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단기적인 목표에 집중하다 보면 장기적인 비전을 잃기 쉽다.

 

이런 상황에서는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조율하는 과정이 지나치게 복잡해지면, 오히려 프로젝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단기 계약직 인력들은 주어진 시간 안에 자신의 역할에 집중하는 것이 해당 직원들의 입장에서는 최우선 과제일 수 밖에 없다.

이때, 조직 및 프로젝트의 장기 비전을 가진 역량 있는 최고 결정 책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책임자는 각 전문가의 의견을 신속하게 조율하고, 프로젝트 목표를 향한 결정을 빠르게 내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전문가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존중하면서도, 효율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이끄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단기 계약직 인력들이 조직에 깊이 뿌리내리기보다는 프로젝트 종료 후 혹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이직 및 여러가지 이유로 빠르게 조직에서 떠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비전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책임자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 이들은 단기 성과에 집중하더라도, 책임자는 프로젝트의 큰 그림을 보면서 장기적인 목표를 견지해야 한다.

 

다양한 경력직 직원들과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은 각자의 분야에서 이미 깊은 경험을 가지고 있어, 그들의 판단을 신뢰하고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모든 사람의 의견을 반영하려는 과정에서 지연이 발생하면, 프로젝트의 성공이 어려워질 수 있다. 책임자는 이러한 의견을 조율하고, 필요한 결정을 신속하게 내려 프로젝트가 일정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방향을 잡는 역할을 잘 수행해야 한다.

 

물론 의견을 수렴하고 조율하는 과정 자체가 완전히 배제되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의견을 듣고 반영하는 것은 조직 운영의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프로젝트가 짧은 시간 안에 성과를 내야 할 때는, 의견 수렴 과정이 지나치게 복잡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중요한 결정은 책임자의 리더십 아래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구성원들의 의견은 효율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반영되어야 한다.